본문 바로가기

It's Interview

|면접| 여덟 살짜리 조카에게 데이타베이스를 설명해보라 “시각장애인에게 파란색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질문의 본질을 파악하라 20대들에게 가장 인기 좋은 구글에서 입사 면접 때 지원자에게 다음 질문을 했다. “여덟 살짜리 조카에게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왜 이런 질문을 하는 걸까? 이 질문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를 모르는 여덟 살 난 아이와 어떤 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지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비슷한 또래끼리는 의사소통을 잘하더라도 나이가 훨씬 많거나 어린 사람들과 소통이 힘들다면 비즈니스 생활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비즈니스는 세대를 뛰어넘는 소통능력이 요구된다. “시각장애인에게 파란색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라는 면접질문도 같은 맥락에서 나오는 거다.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는 맹인에게 .. 더보기
면접08: 주요 면접 분석(토론면접) 주요 면접 분석 토론면접 (4) 토론면접 그룹토론면접은 6~8명의 지원자를 2개 팀으로 나누어 시사이슈에 대한 찬반토론 과정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면접이다. 토론면접은 변별력이 강하지 않아서 삼성그룹은 2013년부터 폐지하였다. 토론면접은 다른 사람들과의 활동 속에서 논리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뿐 아니라 개인별 성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기업은 찬반토론이 아니라 토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토의면접을 실시하는데, 토의면접이 찬반 토론면접보다 용이하다. l 토론면접 질문사례 -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정년 연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경험 많은 고령 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업체 비용 증가와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정년 연장에 대해 찬반의견을 말해.. 더보기
면접07: 주요 면접 분석(PT면접) 주요 면접 분석 PT면접 (3) PT면접 PT면접은 면접 전에 제시된 문제를 풀어서 면접장에서 발표 한 후 질문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면접 직전에 준비할 시간이 10~50분 정도 주어지며 발표 자료를 전지에 작성하거나 A4에 메모하여 면접장에서 발표하는 형식이다.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 기업은 화이트보드를 이용하거나 그냥 구두 발표만 허용하기도 한다. 이공계는 전공지식을 평가하는 측면이 강하지만, 일반적으로 발표 결과보다는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평가하기 때문에 논리적인 사고로 접근해야 한다. 제시되는 문제유형은 기업과 관련되는 경영, 경제 시사문제나 영업전략 혹은 사업전략에 대한 비즈니스 케이스가 나온다. 짧은 문장으로 된 질문도 있지만 A4용지 30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구성된 비.. 더보기
면접06: 주요 면접 분석(인성면접) 주요 면접 분석 인성면접 (2) 인성면접 인성면접은 직무면접의 연장선 상에서 임원들이 조직적합도를 평가하는 면접이다. 실무진들이 지원직무에 적합하다고 통과시킨 3~4배수의 지원자 중에서 한 명을 뽑는 작업이다. 물론 가끔은 이보다 경쟁률이 낮은 기업도 있지만 대략 3배수 인원 중에서 한 명을 뽑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당신보다 부족한 게 없어 보이는 경쟁자보다 당신을 뽑아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이에 대해 자신 있게 답변할 수 없기 때문에 임원들이 진행하는 인성면접은 무척 긴장된다. l 인성면접 질문사례 - 간단히 자기소개 해보라. - 우리 회사에 언제부터 관심을 가졌나? - 가족을 간단히 소개해 보라. - 최근 우리 회사 뉴스 중 기억에 남는 것은? - 인재상 중 본인이 가장 적합한 항목은 100점 기.. 더보기
면접05: 주요 면접 분석(직무면접) 주요 면접 분석 1,2차 면접단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직무면접, 인성면접, 토론면접, PT면접에 대해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알아보자. 직무면접 (1) 직무면접 다음은 실무팀장급이 진행하는 1차 면접에서 주로 질문하는 면접질문이다. 면접관은 입사지원서와 인적성시험 결과, 자기소개서를 토대로 면접을 진행한다. 특히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내용에서 질문의 힌트를 찾는다. l 직무면접 질문사례 - 1분 정도로 간략하게 자기소개를 해보라. - 우리 회사에 왜 지원했나? - 지원직무를 희망하는 이유는? - 지원직무를 위해 그 동안 무엇을 준비했나? - 입사 후 다른 직무로 배치 받으면 어떻게 할건가? - 지금까지 지원한 회사들은 어디인가? - 전공이 지원직무와 상관성이 없는데, 전공이 직무에 어떤 도움이 되나? -.. 더보기
면접04: 면접유형에는 어떤 게 있나 면접 합격전략 면접유형 직무적합도와 조직적합도 평가 면접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표는 다양한 관점으로 구분한 면접종류이다. 일반적으로 면접관 3~4명과 지원자 4~6명이 참석하는 다대다(N:N) 면접이 보편적이다. 대부분 기업들은 1,2차 면접으로 끝나며 3차 면접까지 진행하는 기업은 많지 않다. 다양한 면접방식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면접은 직무면접, 인성면접, 프리젠테이션 면접, 토론면접이다. (도표) 면접유형 구분 면접 종류 면접순차 1차 면접 – 2차 면접 – 3차 면접 면접관 레벨 실무진면접, 임원면접, 경영진면접 면접인원 단독면접(N:1 면접), 그룹면접(N:N 면접) 면접내용 직무면접, 인성면접, 역량면접(구조화면접), 전공면접, 세일즈면접, 압박면접, 외국어면접 면접방.. 더보기
면접03: 면접은 왜 중요한가? 면접 합격전략 면접은 왜 중요한가? 스티브 잡스에게도 상사가 있었다. 스티브 잡스가 1974년 비디오 게임 제작업체 ‘아타리’에 입사할 때 아타리 CEO 놀란 부쉬넬은 열정에 찬 잡스의 ‘눈’을 보고 채용을 결정했다. 부쉬넬은 오늘날 ‘비디오 게임의 아버지’로 불리고 있으며 뉴스위크가 뽑은 ‘세상을 바꾼 50명’ 중 한 명이다. 면접장에서 잡스가 면접관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이야기할 때, 잡스의 눈에는 흔들리지 않는 열정이 있었다. 잡스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자신 있게 말했고, 틀에 박힌 대답을 하지 않았다. 열정을 가진 사람만이 행동할 수 있는 모습이었다. 그래서 부쉬넬은 잡스를 채용했다. 채용과정의 핵심은 면접이다. 아무리 뛰어난 스펙과 취업역량을 가졌더라도 서류전형에 합격하고 인적성시험을 거쳐서 면.. 더보기
면접02: 지식의 저주 면접 합격전략 지식의 저주 면접관은 당신의 답변을 제대로 알아 듣기나 할까? 운전에는 사각지대가 있다. 초보시절에 사각지대에서 툭 튀어나오는 오토바이나 차량 때문에 당황해본 경험이 있을 거다. 그런데, 면접 초보자에게도 사각지대가 있다. 칩 히스 교수가 쓴 이라는 책에는 '지식의 저주'라는 말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일반 사람들보다 세 걸음쯤 앞서서 얘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상대방이 전혀 이해를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사람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해보았다. 한 그룹의 사람들에게 120개의 노래를 하나씩 골라 테이블을 두드리도록 했다. 다른 그룹은 그 소리를 듣고서 노래의 제목을 맞히는 실험이었다. 두드리는 사람들은 상대방이 노래를 50% 정도는 알아 맞힐 거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듣는 사람들.. 더보기
면접01: 메라비언의 법칙 면접 역량 향상방안에 대해 연재합니다. 취업의 승부처인 면접에서 어떻게 합격할 것인지 기초부터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하반기공채에 도움이 되기 바라며, 취업성공에 직행하고 싶으신 분은 취업컨설팅을 신청하세요. 취업컨설팅 신청방법은 화면 우측 상단 배너를 클릭하면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면접 합격전략 설득력 있는 목소리와 첫 인상이 중요하다 메라비언의 법칙 (The Law of Mehrabian) 뛰어난 남성 사기꾼은 세 가지를 갖추고 있다. 호감을 주는 외모, 신뢰감을 주는 중저음의 음성, 뛰어난 언변. 이 세 가지를 갖추고 의도적으로, 혹은 우연히 접근하는 남성에게 여성들이 넘어가기 쉽다. 그래서 호의적으로 사람을 대하면서도 내면을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화를 할 때 사람들은 상대방이 말하는.. 더보기
[취업컨설팅] 학생들에게 오줌 맛을 보게 한 의대 교수 면접역량 향상 방안 세심한 관찰력이 한 몫 하는 면접장 학생들에게 오줌 맛을 보게 한 의과대학 교수 한 의과대학 교수가 첫 강의시간에 학생들에게 말했다. “의사가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요건은 대담함과 세심함이네.” 간단하게 말을 마친 교수는 손으로 실험대 위에 놓인, 소변이 가득 담긴 컵을 가리키더니 손가락을 컵 속에 집어 넣었다가 빼서는 다시 입 속에 넣었다. 그러고는 소변이 든 컵을 학생들에게 건넸다. 학생들도 자신이 했던 것과 똑같이 하라는 것이었다. 모든 학생들이 손가락을 컵에 깊숙이 넣었다가 다시 입에 넣었다. 모두들 구토를 참느라 얼굴이 일그러졌다. 이런 모습을 보고 교수가 웃으며 말했다. “좋아. 모두들 아주 대담해.” 이어서 교수는 근엄한 표정이 되어 말했다. “다만 모두들 세심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