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s Interview

[취업컨설팅]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10가지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10가지

'명백한 약점'에 대한 질문에 대응하는 방법

 

 

면접에서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치명적인 10가지 실수를 피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자기소개와 태도, 음성, 복장 등으로 훌륭한 첫인상을 창조하라.

 

2. 4가지 영역(지원회사, 해당산업, 지원직무, 면접관)에 대해 철저히 준비하라.

 

3. 입사지원서와 자기소개서를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하라.

 

4. 주요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통해 회사에 대한 당신의 적합성을 보여줘라.

 

5. 수많은 연습으로 면접을 날카롭게 다듬어라.

 

6. 명백한 약점에 대한 우려를 효과적으로 언급하라.

 

7. 공백기간을 잘 설명해라.

 

8. 직무유관 경험이 없다면 지원직무와의 관련성을 분명하게 보여줘라.

 

9. 훌륭한 마무리 코멘트나 준비된 질문으로 인터뷰를 잘 마무리하라.

 

10.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인상을 강화하기 위해 면접 진행과정 및 면접 후에도 신경 써라.

 

 

이 중 낮은 학점이나 2년 전 대학 졸업 등의 명백한 약점에 대한 질문이 나오면 대답하기가 무척 난처합니다. 하지만 명백한 약점에 대한 면접관의 의문을 해소시키기 못하면 면접결과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초래하지요. 따라서 명백한 약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대응해야 합니다.

 

구직자들이 두려워하는 질문 중 하나가 자신의 명백한 약점에 대한 것이다. 명백한 약점으로는 낮은 GPA, 낮은 영어성적, 성적증명서에 나타난 두드러지게 낮은 전공과목 학점, 졸업 후 1년이 넘는 공백기간, 고시 등 장기간의 공무원시험 경력, 장기간의 휴학기간, 사고나 질병 등으로 인한 오랜 투병경력, 짧은 근무경험과 중도퇴사 경력, 대학 재학 중 동아리 등 교내외 활동경험의 부족 등이 있다.

 

면접에서 명백한 약점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능숙하게 대처해야 한다.

첫째, 그런 질문에 당황하거나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면 안된다. 대신 당신 스스로도 그 약점에 대해 분명히 알고 있다는 인상을 주어야 한다. 만일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면 면접관들은 약점 자체보다도 당신이 주위의 비판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융통성 없고 고지식한 사람으로 판단한다. 또한 실수와 실패에 대해 잘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런 평가는 면접에 치명적이다.

 

둘째, 약점에 대해 부끄러워하거나 미안해하면 안된다. 그런 느낌을 주면 자신감이 결여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약점이지만 너무 방어적이지도 않고 부끄러워 하지 않는 중도적인 태도가 바람직하다. 이런 답변을 통해 자신의 약점을 분명히 알고 있지만, 그 약점을 잘 극복할 수 있다는 면접으로 이끌어야 한다.

 

셋째, 말하는 톤에 주의하면서 국면을 전환시키는 대답이 필요하다. 신뢰감 주는 톤으로 약점을 간략하게 언급한 후, 얼마나 빨리 그런 약점을 극복했는지, 도는 그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어던 노력을 했는지 구체적인 경험을 중점적으로 언급하는 것이다. , 약점에 대한 초점에서 최근의 약점을 극복하려는 활동경험 중심으로 대화 초점으로 바꾸는 것이다. 약점에 대한 화제에서 빨리 빠져 나와 장점이 될 수 있는 화제로 대화 국면을 전환해야 한다.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노력했는지 보여준다면 면접관들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 줄 수 있다.

 

취업의 승부처는 면접입니다. 만일 면접역량이 부족하거나 면접에서 여러 차례 탈락한다면 면접역량을 기르는 면접컨설팅을 전문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취업컨설팅을 신청한다면 오랜 경험과 수많은 기업체 채용현장에서 갈고 다듬은 취업전문가의 지혜를 빌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