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s Interview

[면접컨설팅] 면접에 적용되는 '지식의 저주'

두드리는 사람과 듣는 사람 : 지원자와 면접관

120 곡 중에서 단 3곡만 알아 맞히다

 

운전에는 사각지대가 있습니다.

초보시절에는 사각지대에서 툭 튀어나오는 오토바이나 차량 때문에 누구나 당황하게 됩니다.

그런데, 면접 초보자에게도 사각지대가 있습니다.

 

칩 히스 교수가 쓴 '스틱'이라는 책에는 '지식의 저주'라는 말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일반 사람들보다 세 걸음쯤 앞서서 얘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상대방이 전혀 이해를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사람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한 그룹의 사람들에게 120개의 노래를 하나씩 골라 테이블을 두드리도록 했습니다.

다른 그룹은 그 소리를 듣고서 노래의 제목을 맞히는 실험이었습니다.

 

두드리는 사람들은 상대방이 노래를 50% 정도는 알아 맞힐 거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듣는 사람들은 120곡 중에서 단 3개의 노래만 맞혔을 뿐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 걸까요?

 

두드리는 사람들은 테이블을 두드릴 때 머릿 속으로 노랫소리를 연상하게 됩니다.

그들의 머릿 속에는 오케스트라나 밴드의 선율이 생생하게 흐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듣는 사람들도 그 노랫소리를 들으며 쉽게 맞힐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듣는 사람들에게는 노랫소리는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테이블을 딱딱 두드리는 무의미한 소리만 들릴 뿐이지요.

내 귓속엔 노랫소리가 생생하게 들리는데 어떻게 알아 듣지를 못하는 거지?

두드리는 사람들은 듣는 사람들이 알아맞히지 못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것이 '지식의 저주' 입니다. 듣는 사람의 입장을 생각하지 못하는 자가당착이지요.

지식의 저주를 피하기 위해서는 듣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하는 의도적이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지식의 저주'는 면접에도 적용되는 현상입니다.

 

취업준비생인 여러분은 자기자신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면접장에서 여러분에 대해 궁금한 사항을 면접관이 물어오면,

여러분은 두세 걸음 의도를 벗어나는 대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배경을 바탕으로 대답하게 되면,

면접관은 여러분의 역량을 충분히 평가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됩니다.

 

면접은 여러분을 전혀 모르는 면접관과 처음 만나는 자리입니다.

'지식의 저주'에서 벗어나 면접관에게 여러분을 쉽게 이해시켜야 합니다.

면접에서 자주 버벅거리는 당신은 '지식의 저주'에 빠진 모습일 수도 있습니다.

 

다음 면접에서는 사각지대가 없도록 '지식의 저주'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그럴려면 듣는 사람 입장에서 테이블을 두드리며 노래를 전달해야 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