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s Interview

|면접유형④|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다오: PT면접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다오

업무수행능력을 가늠하는 PT면접

 

취업은 시험이 아니다. 채용은 기업 조직에 적합한지, 지원직무를 잘 할 수 있는 지 검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서류전형과 인적성검사 등의 필기시험을 통과하더라도 면접과정에서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평가하게 된다. 면접은 당신의 본질을 심도 있게 검증하는 채용의 핵심이다. 취업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해 2015 1월부터 월간 <시사&상식> '취업 A to Z'를 게재 중이며, 6월부터는 면접관련 시리즈를 연재하고 있다이번 글은 면접유형 중 PT면접에 대한 이해와 준비방안을 안내한다.

 

사람들 앞에서 발표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취업준비생들은 PT면접을 가장 어려워한다. 뛰어난 발표능력을 지녔다면 좀더 자신 있게 면접에 임할 수 있지만, PT면접은 프레젠테이션 과정을 통해 직무역량을 평가하는 면접이다. 논리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직무 관련 지식을 기르며 꾸준한 프레젠테이션 연습으로 발표능력을 길러야 한다.

 

스티브 잡스를 꿈꾸지 마라

 

2001년 스티브 잡스는 iPod 프레젠테이션에서 청중들의 관심을 고조시킨 후 청바지 주머니에서 아이팟을 꺼낸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작은 크기, 10분만에 1000곡을 담는 놀라운 용량과 속도, 편리한 충전, 뛰어난 디자인으로 세계 음악시장을 바꾼다. 2005년 잡스는 iPod Nano 프리젠테이션 중에 iPod를 꺼낸 청바지 주머니가 아니라, 주머니 안쪽 작은 주머니에서 아이팟 나노를 꺼낸다. 더 작아진 크기로 1000곡을 담을 수 있다는 내용을 강렬하게 어필한다. 잡스는 2008년 맥북 에어 프레젠테이션 도중 서류봉투에서 Mac Book Air를 꺼내며, 얇은 두께를 강조하는 최고의 퍼포먼스를 펼친다.

이처럼 스티브 잡스는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프레젠테이션으로 제품의 가치뿐 아니라 자신의 브랜드를 더욱 강화했다. 하지만 우리는 스티브 잡스가 아니다.

 

▶서류봉투에서 맥북에어를 꺼내는 스티브 잡스

 

 

면접장은 행사장이 아니다. 멋진 프레젠테이션 기교나 쇼보다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뛰어난 이미지를 연출하기보다 PT 과제가 요구하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PT면접 유형: 채용기업과 지원자의 관점 차이

 

PT면접은 면접 전에 제시된 문제를 풀어서 면접장에서 발표 한 후 질문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면접 직전에 준비할 시간이 10~50분 정도 주어지며 발표 자료를 전지에 작성하거나 A4에 메모하여 면접장에서 발표하는 형식이다.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화이트보드를 이용하거나 그냥 구두로 발표하기도 한다. 이공계는 전공지식을 평가하는 측면이 강하지만, 일반적으로 발표 결과보다는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평가하기 때문에 논리적인 사고로 접근해야 한다. 제시되는 문제유형은 기업과 관련되는 경영, 영업전략이나 직무관련 지식, 일반 시사이슈 등의 주제가 나온다. 짧은 문장으로 된 질문도 있지만 A4용지 20페이지가 넘는 비즈니스 케이스 문제도 있다.

 

PT면접은 직무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면접이다. PT면접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논리적 사고, 전략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 창의력, 관련 지식 습득 수준, 가치관과 태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그래서 가장 기본이 되는 직무면접과 인성면접을 제외한 면접유형 중에서는 PT면접이 변별력이 높다. 삼성그룹이 2014년 면접방식을 변경할 때 토론면접은 제외하면서 PT면접을 유지한 이유이다.

 

PT면접 유형은 채용기업 관점에서는 문제해결형, 전략제시형, 지식평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원자 관점에서는 주제에 따라 시사이슈형, 기업주제형, 직무주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PT면접 유형 구분

구분

유형

내용

채용기업

관점

문제 해결형

매출 증대, 해외시장 개척, 사회적 비판 등 문제해결 요구 과제

전략 제시형

회사 영업전략, 신규사업전략, 신제품 전략 제시 과제

지식 평가형

전공지식, 시사상식 등 관련 지식 평가 과제

지원자

관점

시사 이슈형

관련 산업이나 업종, 사회적 문제에 대한 주제

기업 주제형

해당기업 매출, 영업전략, 신사업, 신제품 관련 주제

직무 주제형

직무와 관련된 지식/기술 관련 주제

 

PT면접은 문제해결형 과제와 시사이슈형 과제가 가장 흔하다. 영업부문이나 생산부문에서 발생한 상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문제해결방안을 요구하는 과제가 보편적이다. 두산그룹 DISE(Doosan Integrated Simulation Exercise)처럼 20페이지가 넘는 분량의 비즈니스 케이스도 문제해결형 과제이다. 문제해결형 과제는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필요한 전제를 도입하여 논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문제 분석, 대안 수립 및 비교, 최적의 해결방안 도출 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발휘해야 한다. 정답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감 있게 발표하고 질의응답 시 논리적으로 답변하면 된다. PT면접은 발표결과가 아니라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 중요한데, 특히 문제해결형 PT면접은 과정상의 논리적 사고가 매우 중요하다.

 

전략제시형은 영업/신사업/신제품/CSR 등 회사가 처한 당면 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요구한다. 거창한 내용을 찾기 보다 사소할지라도 참신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좋다. 취업준비생에게 대단한 아이디어를 기대하지 않지만, 전혀 관심이 없던 기업이라면 상투적이고 뻔한 내용으로 면접관을 실망시킨다.

 

이공계 직무는 전공지식이 중요하기 때문에 전공지식을 묻는 지식평가형 PT과제가 많다. “2차 전지의 구조를 설명하시오.”, “리튬이온전지의 열 방출량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하시오.”, “삼성전자 SUHD TV LG전자 올레드 TV 기술방식 차이를 설명하시오.” 등의 사례가 해당된다.

 

지원자 입장에서는 단순하게 시사이슈 관련 주제인지, 해당기업 관련 주제인지, 직무 관련 주제인지 구분할 수 있다. 주제에 따라서 쉽게 구분할 수 있지만 면접의 주체는 채용기업이다. 따라서 PT면접은 채용기업 관점에서 면접관 의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PT면접 유형별 핵심 포인트

유형

핵심 포인트

문제해결형

문제분석, 논리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 + 발표능력

전략제시형

문제분석, 창의적 사고 + 발표능력

지식평가형

지식 배경 + 발표능력

 

 

PT면접 사례 분석

 

다음은 PT면접 사례들이다. 사전에 PT 과제를 받아서 A4용지에 메모한 후 전지에 발표내용을 별도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또는 면접장 화이트보드에 발표내용을 판서하여 발표하거나, 그냥 구두로 발표하는 경우가 있다. 발표도구 없이 발표하기 보다 전지에 작성한 자료를 바탕으로 발표하는 것이 좀더 쉽다.

 

▶사례 1

다음 주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발표하시오.

① 최근 세계경제는 저수익,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한 경제환경 속에서 기업 역시 저투자, 현상유지 등 소극적인 경영방침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장기 저성장 환경에서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전략에 대해 분석하여 발표하시오.

② 매출성장률, 영업이익률, 재고회전율, 자산회전율, 판매율 등 기업을 관리하는 주요 지표들이 있습니다. 주요 관리지표들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당사와 같은 패션전문기업에서 제일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지표는 무엇이라 생각하며, 그 이유를 발표하시오.

 

두 가지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발표하는 PT면접이다. 경영관리직무 지원자에게 제시된 PT면접 과제로서 ①은 전략제시형 과제인데 정답은 없지만 지원 기업의 사업현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면접관들이 공감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②는 직무 관련 지식평가형 과제이다. 알고 있는 지식을 최대한 설명하고 가장 중요한 지표에 대해 논리적인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이공계가 아닌 직무에서도 관련 지식을 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사례 2

BRICs 외에 향후 성장이 유망한 국가들은 어디이며, 입사 후 이에 대해 어떻게 시장을 개척해야 하는지 영업전략을 제시하시오.

 

영업전략을 묻는 PT면접이다. 지원기업에 대한 사업전략과 영업전략은 기술부문을 제외한 관리부문과 영업부문 전반에 제출되는 문제이다. 지원 기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투적이지 않은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좋은 반응을 얻는다.

 

사례 3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탕과 크림을 넣지 않고 그냥 커피만 마시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구수한 맛을 가진 커피믹스 시장은 위기를 맞고 있는데, 만일 당신이 커피믹스 제조회사의 마케팅 책임자라면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마케팅전략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다른 기업의 문제점을 거론한 전략제시형 PT면접이다. 지원 기업이 아니라 일반적인 기업사례를 통해 직무역량을 평가하는 방법인데, 변별력 있는 사례로 활용할 수 있다면 PT면접 주제는 제한되지 않는다.

 

▶사례 4

새로운 오디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기존의 인기 오디션 프로그램과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지 설명하시오.

 

창의적인 사고를 평가하는 전략제시형 PT면접이다. 시기적으로 오디션 프로그램이 이슈가 되고 있을 때 던질 수 있는 과제이다. 경제, 사회, 엔터테인먼트, 정치적으로 큰 시사 이슈가 있을 때 기업 관점에서 면접과제로 활용할 수 있다.

 

사례 5

1.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 원인과 대책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반도체는 보통 알루미늄 배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구리배선으로 바꾸기 위한 방법과 구리배선의 장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아파트 층간 소음문제가 심각하다. 다음의 층간 소음원인과 대책에 대해 의견을 발표하시오.

① 층간 소음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② 공법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③ 재료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④ 층간 소음문제 해소를 위한 해결방안이나 아이디어는 무엇인지 제시하시오.

 

사례 5는 세 가지 지식평가형 PT면접이다. 1번은 건설회사에서 건축시공 지원자의 전공지식을 평가하려는 과제이다. 면접장에서는 갑자기 기억이 나지 않아 당황스러울 때가 있으므로, 기본적인 전공지식일지라도 전체적으로 리뷰하고 면접에 임해야 한다.

 

2번은 반도체회사에서 기술지식을 평가하는 과제인데, 이공계는 지원직무와 관련되는 세부 전공을 수강하지 않았을 경우 불리하다. 졸업 후 진로를 명확히 하여 요구되는 세부 전공을 좋은 학점으로 수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3번은 실무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전공지식을 묻고 있다. 1,2번처럼 단순한 전공지식을 평가하기 보다는 이와 같이 실무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전공지식을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사례 6

당신 회사에서 고객과 같이 진행하는 프로젝트 책임자가 건강상의 이유로 계속 진행할 수가 없게 되었다. 기존 책임자가 빠지면서 당신이 대신 책임자로 투입되었는데, 당신 회사 직원들은 없고 협력사 직원들과 함께 일하는 프로젝트이다. 그런데 기존 책임자와 협력회사 직원과의 사이가 악화되어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당신 회사의 프로젝트 이익을 보전하기 위해 협력회사 이익을 줄인 것이 협력회사 직원들 사기에 악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 경우 어떻게 협력회사 직원들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것인가?

방법은 상관 없으며 상상할 수 있는 어떤 일도 가능하고, 비용이 드는 경우에 예상비용을 제시하시오. 그리고 당신이 제안하는 방법이 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인지 이유를 설명하시오.

 

상황을 제시하고 해결방안을 요구하는 문제해결형 PT면접이다. 문제해결형 PT면접은 이처럼 간략한 문제부터 20~30 페이지에 달하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분량이 많으면 상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지만, 충분한 자료가 제공되기에 상황을 이해하기 수월하다. 따라서 분량과 난이도는 상관성이 없다.

PT면접의 정수는 기업 실무현장에서 가져온 비즈니스 케이스이다. 면접 자료와 배경지식을 토대로 논리적으로 상황을 분석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상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수립한 후 어떤 대안이 가장 합리적인지 비교 검토한다. 뛰어난 해결방안도 중요하지만,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논리적 이유가 더욱 중요하다.

 

 

PT면접 평가요소

 

PT면접은 세부적으로 상황판단능력, 문제분석력, 문제해결 능력, 논리적 사고, 발표능력을 통해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면접이다. 각 평가항목에 대해 자신의 역량을 긍정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PT면접 평가요소

평가요소

평가내용

상황판단 능력

제시된 과제에 대해 정확하고 빠르게 이해하는 능력

문제분석력

제시된 과제와 배경지식을 토대로 문제를 분석하는 능력

문제해결 능력

상황을 분석하여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능력

논리적 사고

논리적인 사고로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

발표 능력

이해하기 쉽고 설득력 있게 발표하는 능력과 자신감 있는 태도

 

따라서 PT면접은 문제에 대한 이해, 상황 분석, 명확한 해결방안 제시, 프레임을 활용한 논리적인 발표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자신감 있고 명확하게 해결방안을 제시하도록 연습이 필요하다.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참조하여 자신이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정하면 도움이 된다. 경영학도들은 프레임워크 자체를 중시하는 실수를 범하는데 PT면접은 현란한 발표 스킬을 평가하는 게 아니라 논리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익숙하지 않은 프레임워크보다는 심플한 3단 논법(현황분석→대안 제시→해결방안 도출), 2단 논법(현황분석→해결방안 도출)이 훨씬 효과적이다. 3단 논법 혹은 2단 논법을 적극 추천한다. 다양한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심플하게 발표하는 자신의 프레임워크를 완성시키면 PT면접이 어렵지 않다.

 

프레임워크(Frame Work)?

문제해결을 위한 원인 파악이나 해결책을 구상하기 위한 골격으로 SWOT, 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Product Life Cycle, 3C(Customer, Competitor, Company)+1C(Channel), STP(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마이클 포터 5F 분석(공급자, 고객, 잠재적 시장 진입자, 대체제, 경쟁자), BCG 매트릭스 등이 활용된다.

 

PT면접에서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PT면접은 직무수행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 지 문제해결 과정을 평가하는 면접이다. 그래서 결과를 도출하는 논리적인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 기술부문은 전공지식에 대한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관리부문과 영업부문은 정답이 없는 문제가 나온다.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자신의 프레임워크를 설정하여 해결방안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자신 있게 설명하면 된다.

 

만일 1차 면접에서 직무면접, PT면접, 토론면접이 진행된다면 직무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 일단 지원직무에 적합한 인재로 인정 받아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PT면접과 토론면접을 본다. PT면접과 토론면접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지만, PT면접은 직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문제해결능력을 중시하고 토론면접은 다른 사람들과 활동하는 태도를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PT면접과 토론면접의 차이점

구분

공통점

차이점

PT면접

- 논리적 사고

- 커뮤니케이션 역량

상황판단능력, 분석력, 체계화 능력, 문제해결능력

토론면접

상호존중, 경청, 협력, 팀워크, 가치관

 

 

프레임워크와 프레젠테이션 스킬

 

PT면접은 프레임워크 활용법에 따라서 문제해결과 발표를 보다 인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PT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결정적이지 않다. PT면접을 뛰어나게 잘하기 보다는 무난하게 진행하는데 목표를 두어야 한다.

앞서 PT면접 분석에서 SWOT, 4P, PLC, 3C+1C, STP, 5F, BCG 매트릭스 등과 같은 프레임워크보다 3단 논법이나 2단 논법이 쉽다고 했다. 일반 기업의 PT면접에서는 간략하게 3단 논법을 프레임워크로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피면접자가 이해하기 쉬운 방법이고,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하기도 쉽고, 발표 시에는 면접관들에게 메시지를 쉽게 전달할 수 있다. 3단 논법으로 다양한 PT면접 기출문제를 풀어보며 자신에게 익숙한 프레임워크로 만들어야 한다. 3단 논법 프레임워크에 익숙해지면 어떤 문제에 대해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3단 논법 프레임워크

 

 

3단 논법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전지에 발표자료를 작성하면 상기 이미지와 같은 모양이 된다. PT면접 과제 내용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문제해결형 PT면접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어떤 상황이든지 심플하고 쉽게 분석하여 문제해결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이다.

 

현황분석, 문제점 및 대안, 해결방안 등의 소제목은 PT면접 내용에 따라 변경하면 된다. 현황분석은 PT면접에서 제시한 상황을 분석하여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Logic Tree 형태로 분류한다. MECE Logic Tree 6월호 취업 A to Z’에서 설명했다. 문제점 및 대안에서는 상황분석을 통해 파악된 주요 문제점에 대해 어떻게 문제를 개선할 것인지 다양한 대안을 정리해 본다. 실현 가능성과 기대효과 등을 평가하여 중요한 대안을 정리한다. 문제점과 대안을 정리할 때는 상기와 같은 테이블 형식 또는 원이나 삼각형 모양의 도식화 등으로 시각적 효과를 고려한다. 대안 중 가장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서 주어진 주제에 따라 1~3가지로 결론을 도출하면 된다.

 

3년 전 해외 명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한 여성은 1년 가까이 입사지원서 한번 내지 않았다. 취업에 뜻이 없어 취업준비를 소홀히 했었던 점도 이유이지만, 내향적인 성격과 모기만한 목소리로 말하는 태도 때문에 면접을 두려워했다. 하지만 부모님께 계속 용돈을 타는 일이 미안하여 취업에 도전하기 위해 1:1 취업컨설팅을 시작했다. 한 차례 면접에서 실패하였지만 두 번째 얻은 대기업체 면접에 합격하여 취업에 성공했다. 직무역량면접, 토론면접, PT면접, 인성면접을 3차례 면접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을 치열한 면접연습으로 통과한 것이다. 특히 가장 자신 없는 PT면접은 수많은 모의면접과 연습으로 극복하였다. PT면접 역량을 갑자기 향상시키는 일은 쉽지 않지만 사람에 따라서 불가능하지는 않다. 면접결과는 연습에 비례한다. 평소에 기출문제를 이용하여 발표자료를 작성하고, 발표연습을 꾸준히 하면 PT면접 스킬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PT면접은 연습을 통해 결과를 바꿀 수 있다.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다오: 스티브 잡스에게 배워라

 

스티브 잡스는 프레젠테이션에 강했다. 별다른 준비를 하지 않은 듯이 느긋하고 편안하게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두려움을 모르는 사람처럼 태연히 행동했지만 잡스는 사전에 철저하게 연습하고 또 연습했다. 제품도 워낙 뛰어났지만 잡스가 진행한 아이팟, 맥북에어, 아이패드, 아이폰 프레젠테이션은 스티브 잡스를 더욱 유명하게 만들었다.

 

완벽을 추구하는 잡스는 발표할 내용을 직접 준비하고 작성했다. 자신의 분신과 같은 제품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알고 있기 때문이지만, 그보다는 완벽을 추구하는 성격 탓에 프레젠테이션에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았다. 발표에 사용되는 슬라이드를 여러 차례 수정하며 꼼꼼히 살폈고, 발표 전날에는 밤늦게까지 슬라이드를 점검하고 발표 연습을 반복했다. 아주 사소한 부분까지 심하게 집착하며 완벽을 추구했다. 그 결과 스티브 잡스는 프레젠테이션 교과서로 남았다.

 

 

PT면접은 신제품 발표 프레젠테이션과 다르다. 하지만 PT면접에도 통하는 신의 한 수를 스티브 잡스에게 배울 수 있다. 다음은 잡스에게 배우는 5가지 PT면접 스킬이다.

 

첫째, 강점을 팔아라. 프레젠테이션 도중 iPod을 청바지 주머니에서 꺼내고, iPod Nano는 더 작은 주머니에서 꺼내며 작은 크기를 강조했고, 맥북에어는 서류봉투에서 꺼내며 얇은 두께를 강조했다.

 

둘째, 메시지를 강렬하게 전달하라. 1000곡의 노래를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다는 심플하고 강렬한 메시지로 아이팟의 핵심을 전달했다.

 

셋째, 숫자를 활용하라. 1000곡의 노래, 10분만에 1000곡 저장, 기존 MP3 Player보다 30배 빠른 속도, 밧데리 용량 10시간, 1시간에 밧데리 용량 80% 충전한다는 내용이 숫자로 이어진다. 숫자는 내용 전달을 아주 명확하게 한다.

 

넷째, 작은 실수는 잊어라. 완벽한 스티브 잡스도 실수할 때가 있지만 가벼운 농담으로 지나치며 잊게 만든다.

 

다섯째, 연습만이 살 길이다. 스티브 잡스가 처음부터 프레젠테이션을 잘하지 않았다. 반복되는 경험과 전날 밤까지 완벽하게 연습하는 노력이 쌓이면서 프레젠테이션 달인이 되었다.

 

스티브 잡스는 본질에 집중한다.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제품 본질에 집중하는 심플한 디자인, 핵심 메시지만 전달하는 간결한 슬라이드, 제품의 강점을 부각시키는 명료한 연출 등으로 자신의 꿈과 철학을 소비자들에게 팔았다. 당신은 지원 기업에서 일하고 싶은 열정과 가치를 면접관에게 팔아야 한다. 면접역량은 꾸준한 연습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PT면접은 혼자서 하는 셀프 연습으로도 결과를 바꿀 수 있다. 연습, 연습, 연습으로 PT면접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문제해결 능력이 뛰어난 인재임을 어필하라!

 

---------------------------------------------------------------------------------------------------------------------------

칼럼니스트 소개

김호종 (mentor@careermap.kr)

- 한국취업코칭센터 대표 / 취업전문가

  피플앤컴퍼니 대표이사, 유니코써어치 상무, CJ그룹 팀장, 두산그룹 과장

- 대학 및 기관 대상 취업특강/취업캠프, 개인별 1:1 취업컨설팅 진행

- 취업블로그 김호종의 아주 특별한 취업컨설팅운영(http://blog.careermap.kr/)

- 저서 <지금 당장 이직하라>

---------------------------------------------------------------------------------------------------------------------------